요즘은 멀리 떨어진 가족, 교회, 평생교육원, 복지관 모임도 대면 대신 ‘줌(Zoom)’ 으로 만나는 시대입니다.
줌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얼굴을 보며 대화할 수 있는 화상회의 프로그램으로,
학교 수업, 강의, 회의뿐만 아니라 가족 모임, 친척 생일파티, 취미 모임에도 많이 쓰입니다.
하지만 고령층 분들 중에는
“줌 초대 메시지를 받았는데 어떻게 들어가야 하나요?”,
“카메라가 안 켜져요.”, “내 목소리가 안 들린대요.” 같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줌 앱 설치 → 초대 링크로 참여 → 카메라·마이크 설정 → 회의 종료까지
스마트가이드 단계별로 알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지만 한두 번만 해보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1. 줌(Zoom)이란 무엇인가?
줌(Zoom) 은 미국에서 개발된 무료 화상회의 앱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영상으로 얼굴을 보고, 목소리로 대화하며, 화면 공유나 파일 공유도 가능합니다.
줌의 특징으로는
1) 무료로 사용 가능하지만 40분 제한이 있고 재입장 가능합니다.
2) 얼굴과 목소리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합니다.
3) 최대 100명까지 참여 가능하고
4) 회의 ID 또는 초대 링크로 간편 접속할수 있습니다.
가족 화상모임이나 온라인 강의, 교회 성경공부, 복지관 강좌등을 활용할수 있습니다.
2. 준비물
1)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노트북이 필요하고 카메라나 마이크는 필수입니다.
2) 와이파이 또는 데이터가 되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3) 줌(Zoom) 앱 설치하고
4) 회의 초대 링크 또는 회의 ID + 비밀번호 를 전송합니다.
주최자가 보내준 링크 하나면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3. 줌 앱 설치하기
- 스마트폰에서 설치
1) Play스토어(갤럭시) 또는 App Store(아이폰) 실행후
2) 검색창에 “Zoom” 입력합니다.
3) ‘Zoom Cloud Meetings’ 앱 선택합니다. 파란색 카메라 로고입니다.
4) 설치후 → 열기 클릭합니다.
- 컴퓨터에서 설치
1) 인터넷 주소창에 zoom.us/download 입력합니다.
2) “Zoom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클릭한후
3) 설치 파일 실행하면 → ‘설치 완료’입니다.
비슷한 이름의 가짜 앱이 있으니 꼭 공식 Zoom 어플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4. 회원가입 없이 회의 참여하기
줌은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회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초대 링크로 참여
1) 가족이나 강사에게서 받은 초대 메시지 확인합니다.
예: 👉 https://zoom.us/j/1234567890?pwd=abcd12
2) 해당 링크를 터치하면 자동으로 줌 앱이 열립니다.
3) “회의 참가” 화면이 나타나면 이름 입력하고 → ‘참가’ 버튼 클릭합니다.
4) 비밀번호(있는 경우) 입력하면 → 입장 완료입니다.
본인 이름을 적어두면 다른 참여자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5. 회의 ID로 참여하기 (링크가 없을 때)
1) 줌 앱 실행합니다.
2) 첫 화면에서 ‘회의 참가(Join a Meeting)’ 선택한후
3) 주최자가 알려준 회의 ID 입력합니다. (예: 876 543 2100)
4) 이름 입력후 → ‘참가’ 클릭합니다.
5) 비밀번호(있는 경우) 입력 후에 입장할수 있습니다.
회의 ID는 숫자 9~11자리이며, 초대 메세지에 함께 적혀 있습니다.
6. 카메라 및 마이크 설정하기
회의에 입장하면 화면 하단에 카메라와 마이크 아이콘이 있습니다.
- 카메라 켜기
1) 하단의 ‘비디오 시작(Start Video)’ 클릭합니다.
2) 아이콘이 회색에서 → 흰색으로 바뀌면 카메라가 켜진 상태로
3) 얼굴이 보이면 정상 작동입니다.
- 마이크 켜기
1) 하단의 ‘음소거 해제(Unmute)’ 클릭합니다.
2) 아이콘에 빨간 줄이 없어지면 말소리가 전달됩니다.
회의 중에는 주변 소음이 많으면 음소거(Mute)를 눌러두면
말할 때만 해제하면 깔끔하게 대화할 수 있습니다.
7. 화면 보기 조정
줌에는 두 가지 화면 모드가 있습니다.
| 화자 보기(Speaker View) | 말하는 사람 얼굴이 크게 표시 |
| 갤러리 보기(Gallery View) | 모든 참가자가 한 화면에 작게 표시 |
- 화면 전환 방법
- 스마트폰으로는 화면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밀어줍니다.
- 컴퓨터에서는 오른쪽 상단의 ‘보기(View)’ 버튼 클릭합니다.
가족모임처럼 여러 사람을 보고 싶을때는 갤러기 보기가 좋습니다.
8. 화면 이름 변경하기
잘못된 이름으로 들어왔을 때 수정 가능합니다.
1) 화면 하단의 ‘참가자(Participants)’ 클릭합니다.
2) 내 이름 옆의 ‘… 더보기’ → 이름 변경(Rename) 선택하고
3) 이름 입력한 후 → 확인합니다.
'홍길동' --> '홍길동 할머니' 또는 '박가족 아버지'로 지정해두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9. 채팅 기능 사용하기
회의 중 메시지로 인사나 질문을 남길 수 있습니다.
1) 하단 메뉴에서 ‘채팅(Chat)’ 클릭한후
2) 메시지 입력창에 글 작성하고 → 전송을 눌러줍니다.
"안녕하세요~ 잘 들립니다." , "손주 얼굴 잘 보여요!!"
필요 시에 주최자에게만 '개인 메세지'로 보낼 수도 있습니다.
10. 화면 끄기 및 나가기
회의가 끝나면 안전하게 종료해야 합니다.
- 나가는 방법
1) 오른쪽 상단의 ‘나가기(Leave)’ 버튼 클릭합니다.
2) “회의 나가기” 선택후 → 종료가 됩니다.
주최자가 먼저 회의를 종료하며 자동으로 연결이 끊기게 됩니다.
11.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법
| 소리가 안 들림 | 마이크 아이콘이 음소거인지 확인 후 ‘해제’ 클릭 |
| 내 얼굴이 안 보임 | 카메라 아이콘 ‘비디오 시작’ 클릭 |
| 화면이 멈춤 | 와이파이 신호 확인 → 약하면 위치 이동 |
| 입장이 안 됨 | 초대 링크나 회의 ID를 다시 확인 |
| 상대방 목소리가 작음 | 스마트폰 볼륨 버튼으로 소리 높이기 |
줌 앱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오류가 줄어듭니다.
12. 안전하게 이용하기 (보안 수칙)
1) 회의 비밀번호는 공유 금지가 좋습니다.
2) 낯선 사람의 초대 링크 클릭하지 않습니다.
3) 회의 중 카메라 끄고 필요할 때만 켜기를 실천합니다.
4) 개인정보가 보이는 화면 공유 금지하도록 합니다.
줌은 국제 보안인증을 받은 서비스이지만,
초대 링크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받아야 안전합니다.
13. 생활 속 활용 팁
1) 가족 생신 모임을 줌으로 열면 지방·해외 가족도 함께 참여 가능합니다.
2) 교회 예배나 강좌, 경로당 프로그램도 비대면 참여 가능하고
3) 손주와 영상통화처럼 사용하면 화면이 크고 편리합니다.
4) 화면 녹화 기능으로 중요한 강의 내용을 다시 볼 수도 있습니다.
'손주와 함께하는 줌 연습 시간'을 만들어 처음엔 1:1 통화부터 시작해보세요, 금방 익숙해집니다.
줌(Zoom)은 이제 단순한 회의용 프로그램이 아니라 세대를 이어주는 화상 소통 도구가 되었습니다.
“앱 설치 → 링크 클릭 → 카메라·마이크 켜기 → 대화 참여”
이 네 단계만 기억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처음엔 낯설지만, 한 번 익히면 가족모임이나 수업 참여가 훨씬 쉬워집니다.
화면 속에서 손주 얼굴을 보고 인사를 나누는 그 순간,
디지털 세상이 얼마나 따뜻할 수 있는지를 직접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이제 줌으로 언제 어디서든 가족과 함께 소통해보세요.
'고령층 스마트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령층도 쉽게 따라하는 유튜브 영상 검색과 시청 방법-스마트가이드 (0) | 2025.10.06 |
|---|---|
| 고령층도 쉽게 따라하는 구글 지도 길 찾기 방법-스마트가이드 (1) | 2025.10.05 |
| 고령층도 쉽게 따라하는 네이버 밴드 가족 모임 소식 확인 방법-스마트가이드 (0) | 2025.10.05 |
| 고령층도 쉽게 따라하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구매와 사용 방법-스마트가이드 (0) | 2025.10.05 |
| 고령층도 쉽게 따라하는 카카오톡 단체방 참여와 메시지 확인 방법-스마트가이드 (1) | 202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