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계좌가 정지되었습니다”라는 문자를 한 번쯤 받아보셨을 겁니다.
이런 메시지 안의 링크를 무심코 누르면,
스마트폰 안의 개인정보가 모두 유출되거나 금융 앱이 조작되는 스미싱(Smishing) 피해가 발생합니다.
특히 고령층은 문자 내용을 실제 안내로 오해해 클릭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금액이 매년 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스마트폰에는 스미싱 문자와 악성 링크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기본 탑재되어 있으며,
통신사(삼성·KT·LGU+)에서도 무료 차단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안드로이드·아이폰 각각에서 문자 피싱(스미싱) 차단을 설정하는 법과
사기 문자를 구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설정 하나로 내 스마트폰은 안전한 방패를 갖게 됩니다.

1. 스미싱(Smishing)이란 무엇인가?
스미싱(SMS + Phishing) 은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피싱(사기) 수법입니다.
가짜 링크를 눌러 앱을 설치하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만들어
금융 정보, 인증번호, 연락처 등을 탈취합니다.
| 📦 택배 위장형 | “배송 확인을 위해 링크를 눌러주세요” |
| 💳 금융기관 사칭형 | “계좌가 잠겼습니다. 본인 인증 필요” |
| 🧾 공공기관 위장형 | “건강보험 환급금이 있습니다” |
| ❤️ 가족 사칭형 | “엄마, 휴대폰 고장났어요. 이 링크로 연락해줘” |
💡 핵심:
스미싱은 사용자가 직접 링크를 눌러야 감염됩니다.
따라서 “문자 링크 차단”만으로도 대부분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2. 안드로이드(갤럭시)에서 문자 피싱 자동 차단 설정
📱 A. 메시지 앱의 ‘스팸 보호’ 기능 켜기
1️⃣ 메시지 앱 실행 → 오른쪽 상단 점 세 개(⋮) 클릭 → 설정
2️⃣ 스팸 보호 또는 Smart Anti-Spam 선택
3️⃣ 스팸 문자 자동 차단 켜기
💬 효과:
AI가 의심스러운 문자·링크를 자동 분류해
별도의 ‘스팸함’으로 이동시킵니다.
📱 B. 구글 메시지 앱 — ‘스팸 보호 강화’
1️⃣ 설정 → 메시지 → 스팸 보호 → 활성화
2️⃣ “의심 문자 신고” 옵션도 함께 ON
💡 결과:
모르는 번호, 금융·택배 관련 링크가 포함된 문자는
화면에 경고 표시가 뜨고 자동 격리됩니다.
📱 C. 통신사 스미싱 차단 서비스 (무료)
각 통신사에서는 스미싱 문자·악성앱을 자동 차단하는 무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 SKT | T안심서비스 | T전화 앱 → 보안 → 스팸문자 차단 |
| 📶 KT | KT 스팸차단 | KT 고객센터 앱 → 보안 → 문자 차단 |
| 📶 LG U+ | U+ 스팸차단 | U+전화 앱 → 환경설정 → 스팸차단 ON |
💡 효과:
의심 문자 발신번호를 실시간 탐지해 서버 차단.
문자 수신 전 단계에서 막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합니다.
📱 D. ‘국민 스미싱 차단 앱’ 설치 (선택)
정부와 통신 3사가 제공하는 공식 앱입니다.
1️⃣ Play스토어 → ‘스미싱 차단’ 검색 → 설치
2️⃣ ‘문자 필터링 허용’ 승인
3️⃣ 자동으로 위험 링크 탐지 및 차단
💬 추천 앱:
- “스미싱 문자 차단(KISA)”
- “T 안심보안(SKT 공식)”
- “U+ 보안”
3. 아이폰(iPhone)에서 문자 피싱 차단하기
아이폰은 시스템이 폐쇄적이라 악성앱 감염률이 낮지만,
링크 클릭에 의한 피싱은 여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A. 문자 차단 기능 켜기
1️⃣ 설정 → 메시지 → 알 수 없는 발신자 필터링 ON
2️⃣ 알 수 없는 번호에서 온 메시지는 자동으로 ‘필터됨’ 탭으로 분리
💬 효과:
금융기관·택배 등 사칭 메시지가 기본 메시지함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 B. 스팸 탐지 앱 연동 (KT, SKT, LGU+ 제공)
1️⃣ App Store → T전화 / KT 고객센터 / U+전화 설치
2️⃣ 설정 → 메시지 → 스팸 문자 필터 → 통신사 앱 선택
💡 효과:
국내 통신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사기 문자를 탐지하고, 의심 링크를 차단합니다.
🍎 C. 사파리(Safari) 안전 설정
1️⃣ 설정 → Safari → 팝업 차단 / 사기 웹사이트 경고 켜기
2️⃣ ‘사이트 추적 방지’도 함께 활성화
💬 결과:
문자 속 링크를 눌러도
가짜 은행·택배 사이트로 자동 이동되지 않습니다.
4. 링크 클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
| 🔗 주소(URL) | www.kbcard.co.kr | www.kbcard-verify.kr |
| 🧾 문구 | “앱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 “지금 바로 링크 클릭” |
| 👤 발신자 | 1588, 1644 공공번호 | +82, 010 시작 낯선 번호 |
💡 팁:
“www”로 시작하더라도 중간에 ‘-verify’, ‘-check’ 같은 단어가 붙어 있으면 100% 사기 사이트입니다.
5. 스미싱 문자 수신 시 대처법
1️⃣ 링크 클릭 금지 — 절대 누르지 말 것
2️⃣ 문자 캡처 후 삭제
3️⃣ 통신사 고객센터 신고 (국번 없이 118 / 무료)
4️⃣ 보호자에게 즉시 알리기
5️⃣ 백신 앱으로 검사 실행 (T안심보안, V3 Mobile 등)
💬 주의:
앱을 이미 설치했다면, 즉시 ‘설정 → 애플리케이션 → 해당 앱 삭제’ 후
보안 점검을 실행하세요.
6. 고령층 맞춤 예방법
| 📦 택배 문자 받았을 때 | 문자 대신 공식 택배 앱(로젠, CJ대한통운) 으로 확인 |
| 💳 은행 인증 문자 | 문자 링크 클릭하지 말고 직접 은행 앱 실행 |
| 💬 가족이 링크 보내왔을 때 | 전화로 본인 확인 후 클릭 |
| 🧾 정부 환급금 문자 | 정부24·국세청 홈페이지 직접 접속으로만 확인 |
💡 핵심:
공식 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확인하는 습관이
스미싱 예방의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7. 스미싱 차단 + 보안 강화 추가 팁
1️⃣ 문자 수신 시 미리보기 끄기
- 설정 → 알림 → 메시지 → 미리보기 ‘끄기’
2️⃣ 보안 업데이트 자동 설치 켜기 - 설정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자동으로 다운로드
3️⃣ 백업 주기 설정 (Google One / iCloud) - 악성앱 감염 시 복구용으로 유용
4️⃣ 스팸 전화 차단 병행 - 문자와 전화 피싱은 세트로 이뤄집니다.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문자에 있는 링크를 눌렀는데 아무 일도 안 일어났어요. 괜찮을까요?
→ 즉시 브라우저 닫고 백신 앱으로 검사하세요. 대부분은 괜찮지만, 자동 설치 앱이 생기면 삭제해야 합니다.
Q2. 통신사 차단 서비스를 꼭 신청해야 하나요?
→ 예, 무료이며 효과가 높습니다. 반드시 신청하세요.
Q3. 가족 중 누가 스미싱을 당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즉시 통신사 고객센터(118)로 신고하고, 금융기관 앱 비밀번호를 변경하세요.
Q4. 문자 차단 앱을 여러 개 설치해도 되나요?
→ 한 개면 충분합니다. 여러 개 설치하면 중복 감지로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결론
스미싱은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오늘 소개한 설정만 켜두면 그 한 번의 실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삼성폰의 스팸 보호, 아이폰의 발신자 필터링, 통신사의 스미싱 차단 서비스까지 활성화하면
스마트폰은 훨씬 안전해집니다.
고령층분들은 문자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 습관과 함께 오늘 바로 설정 메뉴를 열고 ‘스팸 문자 차단’을 켜두세요.
작은 설정 하나가 평생의 피해를 막아줍니다.